금리전망 (2) 썸네일형 리스트형 2018년도 금리는 정말 계속 오를까? 세계는 지금 줄타기 중 (27) 현재 금리의 상승은 현재 진행형이다. 몇 몇 국가를 제외하고는 미국과 유럽의 긴축, 금리인상에 맞추어 자국금리를 올리고 있다. 개발도상국 및 외국자본의 기여 비율이 큰 나라들일수록 미국의 금리인상을 남의 나라일로 방관할 수 없을 것이다. 미국, 유럽 투자자본의 이탈과 이로 인한 환율상승 및 외환보유고 감소는 우리가 겪은 잘아는 핫 이슈이다. 하지만 예고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과연 금리를 계속 올릴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갖는 전문가들도 상당하다. 그 이유는 미국은 물론이고 어느 나라 할 것 없이 높아진 가계부채비율 때문이다. 상당 기간 초저금리를 유지하다보니 자연히 대출이 쉬워진 환경에서 너도 나도 빚을 내어 투자하는 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그래서 부동산 가격이 반토막 났던 나라들은 원상복구.. 대출금리 18년도 하반기까지 어떻게 될까 (26) 대출금리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일단 시중은행은 모두 금융채금리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최근 3일간의 채권금리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금리인데 은행이 자금을 채권시장에서 조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대출금리와는 별로 상관이 없다 하겠다. 왜냐하면 채권시장에서 한국은행 영향력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서 금리를 내린다 해도 채권시장에서 외국인이 채권을 대량 매도하면 금리는 오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럼 어제 2018.6.30 기준 나라별 10년 채권금리를 비교해 보자. 우리나라 금리가 결코 높은 금리가 아닌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럼 꼭 우리나라도 따라서 금리가 올라야하는 이유가 있을까?1. 우선 미국금융위기로 거의 모든 나라들이 경제살리기를 위해 초저금리를 지향했다.. 이전 1 다음